개발
Ubuntu 디스크 용량 확인하는 몇가지 명령어
우분투 환경에서 디스크 크기를 알기위한 몇가지 명령어를 여기 기술한다.
# 디스크 별 용량 확인
df -h
# 특정 디렉토리 용량 확인
# -h 옵션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mb, gb단위)로 출력해준다.
du -hs folder
# 현재 폴더에 있는 폴더 및 파일 용량 출력
du -hs *
# 현재 폴더에서 파일 용량이 큰 순서대로 출력
du -h --max-depth=1 | sort -hr
# 현재 디렉토리에서 상위 10개 폴더의 용량 보기
sudo du -hsx * | sort -rh | head -n 10
Copy
보통 비정상적으로 큰 업로드 파일, 임시 파일, 로그 파일을 찾기위해 사용하게 된다.
아니면 특정 프로젝트 폴더의 크기를 출력해서 프로젝트 비용관리를 할때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모든 폴더와 하위 파일을 재귀해서 작동하기때문에 은근히 처리속도가 느리다. 1-2분걸리는 경우도 허다함. 그래서 폴더(디렉토리)를 잘 고려해서 사용하는게 좋다.
#Ubuntu
0
개의 댓글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17/2024
사이트맵 제작 사이트
Create your Google Sitemap Online - XML Sitemaps GeneratorFree Online Google Sitemap Generator. XML-sitemaps.com provides free online sitemap generator service, creating an XML sitemap that can be submitted to Google, Bing and other search engines to help them crawl your website better. It will also...
06/02/2023
AWS Ubuntu + Docker 설정
AWS EC2 환경에서 Ubuntu와 Docker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기록입니다. 인스턴스 환경: AWS EC2 Ubuntu 16.04 LTS (t3.nano, ebs 20g) 마스터 인스턴스 세팅1. 루트 패스워드 설정 2. 스왑 메모리 설정 (메모리 부족할 때) 3. 패키지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 4. 로케일 타임존 설정 5. php, 컴포저 설치 6. node, npm...
06/02/2023
Ubuntu 스왑 메모리(Swap Memory) 설정
AWS EC2 인스턴스에서 메모리가 부족할때 스왑 메모리를 이용해 디스크 용량을 메모리로 취급할 수 있다. Ubuntu 환경에서라면 아래 Bash 명령어로 바로 실행해볼 수 있다. 스왑 메모리는 실제 메모리의 최대 2배까지만 설정해두는게 좋다고 한다. (너무 오래되서 레퍼런스를 못찾겠...) t3a.nano의 메모리가 512MB니까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