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특성작 (특성 이전) 가이드 - 로스트 소드
목차
어느정도 육성의 궤도에 오르면 특성작을 통해 캐릭터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단 특성작 재화인 '미스틱 스톤'이 초반에는 부족하기때문에 초반에는 특성을 띄워놓는거에만 의의를 두고 캐릭터 레벨이 슬슬 120이 넘어가기 시작하면 1옵션 정도 맞추는걸 추천한다.
특성이란?
특성에 대해 간단하게 알고 넘어가보자.
로스트 소드에서 특성이란 캐릭터 레벨이 20에 '한번이라도 도달했다면' 특성기능이 해제되어 캐릭터의 특성을 '랜덤'으로 뽑을 수 있는 기능이다.
장비에 붙는 랜덤 옵션마냥 캐릭터에 붙는 랜덤 옵션이라고 이해하면 편할듯 하다.
한캐릭터는 특성을 총 3개까지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각 특성의 순서나 위치는 전혀 상관이없고 특성은 아래 옵션 중 하나가 랜덤하게 뜨게 된다.

옵션 | 수치 범위 |
---|---|
생명력 회복 | 21 ~ 100 |
공격력 증가 | 5.25% ~ 30% |
보스 공격력 | 21 ~ 100 |
근거리 공격력 | 21 ~ 100 |
원거리 공격력 | 21 ~ 100 |
마법 공격력 | 21 ~ 100 |
방어력 증가 | 5.25% ~ 30% |
치명타 저항 확률 증가 | 2.04% ~ 6% |
생명력 증가 | 5.25% ~ 30% |
치명타 피해 증가 | 10.2% ~ 30% |
이제 여기서 가장 유효한 옵션은 딜러, 힐러 다 써먹을 수 있는 공격력 증가 옵션이고, 딜러의 경우에는 치명타 피해 정도 더 써먹을 수 있다.
그리고 탱킹을 해야하는 직군이나 중열에서 적의 범위기를 같이 맞아야하는 중위직은 생명력이나 방어력도 유효한 옵션이라고 볼 수 있다.
쉽게말해 고정수치로 올라가는 옵션은 그냥 다 꽝이라고 보는게 맞다.
특성작 비용
사실이 비용때문에 다들 특성작을 손대보다가 재화 빠지는 속도보고 바로 손절처리하기 마련이다.
특성 잠금 개수 | 미스틱 스톤 소모 | 골드 소모 | 리롤 옵션 개수 |
---|---|---|---|
0개 (디폴트) | 1개 | 5만 | 3개 |
1개 | 4개 | 10만 | 2개 |
2개 | 16개 | 50만 | 1개 |
통상적으로 기본상태, 아무런 잠금을 하지않을때는 모든 특성슬롯이 리롤되며 가장 싼 비용으로 특성을 뽑아낼 수 있다.
단, 괜찮은 옵션이 한줄뜨면 그 옵션을 잠그고 특성을 리롤해야하는데 여기부터가 이제 고통의 시간이라고 보면 된다.


이런 특성작의 비용때문에 최대한 최초 한줄을 그럴듯하게 띄우는게 주요 특성작의 전략이라고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특성작 전략
위의 비용에서 알아봤듯이 이게임에서 특성작을 위한 리롤에서 가장 많이, 그리고 가장 전략이 들어맞는 구간이 옵션을 2개까지 뽑을때이다.
첫번째 옵션이야 무한이 리롤해가며 한줄 뽑는거기 때문에 보라색 옵션(28%이상)을 뽑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작업이지만 보통 유효 첫줄 -> 두줄로 가는 구간에서 각자 엄청난 딜레마에 쌓이게 된다.
여기서 각자의 재화 전략에 맞추어서 결정을 해야하는데 통상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전략으로 들어가게된다.
1. 첫번째 유효 줄은 보라색 옵션(28%) 이상
2. 두번째 유효 줄은 파란색 옵션(25%) 이상 (물론 색상만 맞아도 이득이다. 그렇게 잘뜨는게 아니다보니...)
3. 세번째 유효 줄은 옵션만 맞으면 킵, 욕심을 낸다면 17% 이상
5.25% ~ 30% 구간의 평균은 17.625% 그러니까 17% 이상만 되어도 평타이상은 쳤다고 판단하는 기준이다.

하지만 세번째 유효줄은 뽑는 자원이 두번째 자원에 비해서 4배나 더들기 때문에 사실상 가중치로 보자면 8%이상만 되어도 유효하고 이말은 즉슨 옵션만 떠도 이득이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물론 마지막 리롤을 하는 정도면 목전이 눈앞이라서 멈추는게 의미가 없지만 말이다.
여기서 변칙 전략이 있는데, 2개를 잠그고 돌리는 재화 소모가 너무 크다보니까 오히려 1 유효옵을 띄워두고 나머지 2개가 어떻게 뜨냐에 따라서 필요한 캐릭터에게 특성을 알맞게 분배하는 중도 타협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1유효옵이 공격력 30%으로 아주 좋게 떠서 2~3유효옵 리롤을 하는데, 생명력 30%와 방어력 30%가 뜬다면 여기서 멈추고 이 옵션을 중위캐릭터나 전위 탱킹 캐릭터에게 특성이전을 해주는 그런 개념인것이다.
유효 옵션 조합
그러면 공/공/공을 제외한 유효옵션은 뭐가있고 또 어떤 캐릭터가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로스트 소드는 위치에 따라서 전위, 중위, 후위의 세가지 분류로 나뉘고, 직업 유형에 따라서 전사, 사수, 마법사, 힐러로 구분된다.
하지만 웃기게도 모든 캐릭터가 '공격력'을 기반으로 모든 스킬구조가 짜여져 있다보니까 쉽게 말해 '공격력을 %로 올려주는 옵션'이 최고의 옵션이라고 볼 수있다.
단순하게 특성작에서 공/공/공을 뽑는게 가장 이득이긴하나, 실제로 특성작을 돌려보면 공격력 한줄나오는것도 운에 달려있으며, 심지어 나온 공격력의 % 수치가 낮으면 괜시리 고민만 더해지는 꼴이다.
이러는 와중에 방어력이나 생명력 같은 옵션이 맥스옵션으로 전설색상으로 나오면 이제 끝없는 딜레마가 시작되는것이다.
그래서 일단 어떤 옵션이 주로 사용되고 어떤옵션은 버려야하는지, 이 옵션은 어떻게 쓸 수 있는지만 우선적으로 알아만 둬도 특성작할때 고민이 좀 줄어들 것이다.
공/공/공
그냥 심플하게 봐서 공%가 3개 뜬다면 이 옵션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최고의 옵션이다.
단 공%의 수치 구간이 5.25~30%까지 엄청 크므로 공퍼의 합이 70퍼 이상만 되어도 엄청 쓸만한 수준이라고 인식하면된다.
웃긴거는 이 최상위 옵션의 제 1 취직처는 딜러가아니라 힐러라는거다.
이게임에서 힐러는 적을 공격하지않고 기본공격으로 아군에게 힐을 뿌리는데, 이 힐이 공계수로 들어가기때문에 힐러의 공격력 = 아군에게 주는 힐량이라는 공식을 가지고있다.
즉 파티 터지는 모습보고싶지않으면 힐러에게 공격력과 공속을 최대한 쥐어주는게 정배이다.
공/공/치
일반적으로 공공공 작업을 하다가 치명타피해로 튀어버린 특성이다.
딜러가 쓰면 유효하므로 치명타 수치가 높다면 킵해두고 딜러 아무에게나 껴주면 그만이다.
공/공/공을 제외한 딜러용 종결 옵션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공/공/생or방
이 옵션에서 고민을 한다는것은 마지막에 붙은 생명력이나 방어력 수치가 28%이상, 또는 전설옵션인 30%가 불어서 고민하는 경우일 것이다.
생명력은 가끔 위치때문에 중위에 서야하는 사수나 마법사에게 은근 나쁘지않은 선택지이다.
방어력은 최근에 나온 갤러해드가 쓸 수 있긴한데 현재 기준으로 방어력이 그렇게까지 유효한 캐릭터는 갤러해드말고는 없다고 보면된다.
생명력이나 방어력이 좀 아쉽다고느껴지는거는 이 두 가지옵션이 장비에서 충분히 챙겨지다는 이유때문일 것이다.
전설 옵션이면 킵해두고 그렇지않으면 리롤하는것도 상관없다.
공/공/보스공격력or원거리공격력or마법공격력or근거리공격력
이게임에서 절대값으로 올려주는 수치는 %로 올려주는 수치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성유물강화나 성장포인트, 마을 기반시설로 올려주는 수치들이 절대값으로 200-300정도 올려주는데 이걸 캐릭터 특성에서 가져간다는거는 너무 아까운 짓이라고 볼 수 있다.
리롤하기위해 거쳐가는 옵션이라 생각하자.
공/치/치
1유효상태에서 돌리다가 치명타 피해가 2개 붙어나오는 경우에 뜰 수 있는 옵션이다.
전형적으로 딜러에게 유리하나 모든 딜러에게 유리하진않다.
파티에 피닉스나 멀린등의 치명타확률 보조를 끼고도 자가버프로 치명타 확률을 올릴 수 있는 케이나 카트린 등의 캐릭터는 쓸만한 카드지만, 치명타 확률이 70%가 안되는 캐릭터가 끼기에는 딜 포텐셜이 너무 떨어지는 옵션이라고 볼 수 있다.
자신의 캐릭 버프 수치를 보고 결정할만한 특성조합이라고 본다.
공/치/생or방
공/공/생or방 보다 하나더 포텐셜이 떨어지는 옵션이다.
공/치/생은 일부 생존이 필요한 캐릭터가 낄수있다해도 공/치/방은 논외이다. 바로 리롤하자
공/생/생 or 생/생/생
이건 위의 공/치/생보다는 훨씬 매력적인 옵션이다.
이게임에서 생명력 올린다고 생존이 도움되는건 아니지만 자기카드를 낀 갤러해드라던지, 종신계약-반격모르가즈 세팅에서는 생명력을 높게 세팅하면서 딜도 챙길일이 필요하므로 생명력 2옵션이 높게 뜬다면 은근히 유효한 옵션이라고 볼 수있다.
추후 이런 데미지를 대신 받아주는 식의 캐릭터나 생명령 계수 기반의 캐릭터가 나올 수 있으므로 이 옵션이 평균 25% 이상의 수치로 떠준다면 킵해두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치/치/치
1 유효옵 시작을 치명타 피해로 시작할린없겠지만 1 옵에 치명타피해가 전설 옵션 30%로 떠서 리롤을 하다보면 나올수도 있는 조합이다.
지금 로스트소드 메타에서는 치명타는 200%정도 챙기면 충분하다는 메타지만, 환경은 항상 변하는법.
괜찮은 옵션수치로 특성이 나왔다면 킵해두고 쓰는것도 나쁘지않다.
당장 치명확률이 70%이상인 캐릭터한테만 껴줘도 밥값은 하는 옵션이니 말이다.
방/방/방
절대 당장 쓸일은 없겠지만 방계수 캐릭터가 출시되면 어찌될지 모르는 옵션.
뜬다면 어디 캐릭터한테 이전시켜두고 킵해두자.
특성 이전
로스트 소드는 캐릭터 특성을 띄워둔걸 '이전'기능을 통해 다른 캐릭터에게 옮길 수 있다.

특성작 하는 화면에서 [이전]버튼을 눌러 특성 기능을 해금한 다른 캐릭터에게 특성을 전달해줄 수 있다.
단 조심해야할것은 특성을 받는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특성은 그대로 증발하므로 받을 캐릭터의 특성을 살려두고 싶다면 제 3의 캐릭터에게 옮겨둔 이후 특성 이전을 실행하면 될것이다.
이전하는데는 다이아 100개가 소모된다.
결론
이 게임은 방치형 게임으로 캐릭터를 점점 강화시켜가며 내가 못깼던 컨텐츠를 하나씩 밀어보는데 그 의의를 두고있다고 생각한다.
특성작 또한 이런 게임의 파고들이 컨텐츠중 하나라고 보고 여기에 필요이상의 재화가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 일일퀘스트나 상점 재화구매로 평소에 '미스틱 스톤'을 많이 모아두는게 엄청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완벽한 특성 세줄을 띄우기보다 적당히 1~2줄선에서 타협을 보고 내 메인 캐릭터 조합 5명에게 먼저 특성을 골고루 맞춰준다는걸 1차적인 목표로 삼고 그다음에 집중적인 투자를 해는것이 더 현명한 소비가 될것이다.
솔직히 운빨의 영역이고 가챠와 다르게 천장이 있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마인드 컨트롤이 더욱이나 필요하다고 생각이 든다.

모두 자기가 원하는 옵션 잘 뽑길 바라며 이만!
#로소 #모바일
0
개의 댓글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16
갤러해드 조합으로 29-25 클리어 공략
로스트 소드를 계속 즐기고 있는데 일주일째 29-25 통곡의 벽을 만나서 뚫지 못하고 정체되어있었다. 시간날때 있는 캐릭터 조합...

02/13
일퀘(일일 퀘스트) 숙제 루트 공략 - 로스트 소드
지금이야 많이 익숙해졌지만 게임 시작하고나서 내부 컨텐츠가 뭐뭐 있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뭘 더해야하는지 모르는 상황이 초...

02/11
마듀 마린세스 페스티벌(레전드 앤솔로지 2025) - 유희왕
현재 2월 11일부터 2월 24일까지 진행하는 유희왕 마스터 듀얼 페스티벌인 '레전드 앤솔로지'에서 사용가능한 덱리의 마린세스...